반응형

전체 글 315

NIC(Network Interface Card)

ad-hoc 네트워크 카드라고도 불리며 컴퓨터 네트워크 안에서 컴퓨터끼리 통신하는 데 쓰이는 하드웨어의 하나이다.대한민국에서는 랜 카드라고 많이 말한다.OSI 계층 1(물리 계층), 계층 2(데이터 링크 계층) 장치를 가지는데, 맥 주소를 사용하여 낮은 수준의 주소할당 시스템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매개체로 물리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사용자들이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무선으로 연결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IEEE 표준에 근거하여, 고유의 맥 주소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의 제조업체에게 할당하는 책임을 진다.이전에는 보통 확장 카드로 따로 설치하였지만 요즘에는 대게 메인보드에 내장되어 쓰는 경우가 많다.연결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나뉜다.메인보드 기준 : 내장형, PCI 커넥터, ISA 커넥터, PC..

Study/Network 2014.07.28

ad-hoc 네트워크

ad-hoc 네트워크는 라우팅 알고리즘이 이동성을 직접 처리하는 네트워킹 방식이다.만약 노드가 움직여 트래픽을 다른 쪽으로 강제로 옯기면, 라우팅 프로토콜은 노드의 라우팅 테이블에 일어난 변화를 관리한다.간단히 말하자면, 기지국과 단말기가 통신하는 형태가 아니라, 각 단말끼리 연결되어 통신하는 형태를 말한다.멀리 떨어져 있는 단말기끼리는 중간에 있는 단말들이 중계기 역할을 해주어 통신을 하게 된다.이런 통신기기간의 무선 통신을 ad-hoc 네트워킹이라고 한다. 이전의 방식과 다르게 중앙 시스템의 도움없이 어디서나 기기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준다.또한 네트워크이다 보니 여러가지 특징들이 존재한다. 아래는 특징들을 보여준다.-보안 기본적으로 ad-hoc 네트워크의 보안 요구조건은 다른 통신 네트워크에서 요구되..

Study/Network 2014.07.28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RAID는 중요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서버에 주로 사용되며, 여러 대의 하드디스크가 있을 때 동일한 데이터를 다른 위치에 중복해서 저장하는 방법이다.데이터를 여러 하드디스크에 저장하여 입출력 작업이 균형을 이루어 전체적인 성능이 개선된다.또한 여러 대의 디스크는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s : 평균 무고장 시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데이터를 중복해서 저장하면 고장에 대비하는 능력도 향상된다.하나의 RAID는 운영체계 입장에서 논리적으로는 하나의 하드디스크로 인식된다.RAID는 스트라이핑(striping : 성능 향상을 위해 단일 파일들이 물리적으로 여러 장치에 나뉘어 저장되어 있는 방식) 기술을 채용하여 다양한 저장 공간으로 파티션할 수 있다.지금부터 여러 RAID의 종류와..

Study/Network 2014.07.27

SOA 레코드(start of authority record)

DNS 레코드 중에 SOA 레코드 는 해당 도메인의 주 DNS서버에 이름을 할당하고, 데이터를 얼마나 오래 캐시에 저장할 수 있는지 지정하는 레코드이다.또한 DNS 구역 내에 저장된 정보로서, 그 구역과 다른 DNS 레코드 구역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DNS 구역은 대별 DNS 서버가 관장하고 있는 도메인의 일부로서, 각 구역은 하나의 SOA 레코드를 포함한다.SOA 레코드는 구역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이름의 정보, 구역의 관리자, 데이터 파일의 현재 버전, 2차 네임서버가 갱신된 내용을 점검하기 전에 기다려야 하는 시간, 구역 전달에 실패한 2차 네임서버가 재시도를 하기 전에 기다려야 할 시간, 2차 네임서버가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소멸시키기 전까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시간, 자원 레코드..

Study/Network 2014.07.27

데이터 흐름제어(Flow Control)

데이터 흐름제어는 두 노드간에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컴퓨터와 주변장치, 네트워크 노드간의 데이터의 흐름, 양의 정도를 관리하여 데이터가 효율적인 속도로 처리되게 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어느 장치(A)가 다른 장치(B)로 데이터를 보낼 때 B가 데이터를 처리하기도 전에 A가 데이터를 더 보내는 경우가 생긴다.그러면 데이터의 유실이 일어나 재전송을 받아야 한다. 데이터 흐름제어는 이런 상황이 발생하지 않게 데이터의 정도를 조절해준다.이때 어느 한 구역 내에서 직렬 데이터의 전송을 할 때에는 XON/OFF 프로토콜을 사용한다.또한 슬라이딩 윈도우 기술을 사용하여 전달한다. 또한 데이터를 보내고, 안 보내고를 정하기 위해 정지대기방식(Stop and Wait)를 사용한다.

Study/Network 2014.07.27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들은 송수신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으로 구성된다.이 패킷들은 표준과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생성된다.일반적으로 데이터 전송은 전송되기 전에 패킷이라는 조각들로 나누어지고, 각 패킷들은 번호를 가지고 있어 수신지에 도착하여 다시 재결합되는 식의 전송이다. 패킷은 편지가 들어있는 편지봉투라고 생각할 수 있다.편지봉투에 보내는 사람 주소, 받는 사람 주소 등을 표시하는 것처럼 패킷도 데이터 앞부분에 패킷이 전해져야 할 채널의 번호, 패킷의 형식 등 패킷이 안전하게 최종 수신지에 전송되는데 필요한 정보들이 붙게 된다.이런 패킷의 구조는 헤더 부분, 데이터 부분, CRC(Cycle Redundancy Check)로 되어 있다.-헤더(Header) : 패킷의 송수신지, 패킷..

Study/Network 2014.07.26

메세지 교환(Message Switching)

회선 교환의 비효율적인 회선 사용을 개선시킨 데이터 통신 방식이다.데이터를 가변 길이의 메시지 단위로 저장하고 그리고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한다.저장 후 전송 방식을 좀 더 자세히 보자.먼저 데이터가 변환된 메시지가 오면 일단 저장한다.그리고 다음 node로 가는 link가 비어있으면 그 메시지를 전송한다.다른 말로는 축적전송(store-and forward)이라고도 한다. 아래는 메시지 교환 방식의 그림이다. 여기서 저장, 전송을 담당하는 메시지 교환기는 하드디스크를 가진 컴퓨터로 구현된다.수신되는 메시지는 이 하드디스크에 저장이 된다.그리고 교환기는 메시지가 완전히 하드디스크에 저장되면 에러를 검사하고 에러가 없으면 경로를 결정하여 다음 교환기로 메시지를 보내게 된다.만약 먼저 전송한..

Study/Network 2014.07.26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데이터 전송 시 두 station만이 사용할 수 있는 전용 통신 경로를 지정하고 통신이 끝날 때까지 독점적으로 회선을 사용하는 방식이다.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서 물리적인 경로가 지정되고 통신을 시작한다.아래는 회선 교환 방식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회선이(link의 집합) 독점되므로 다른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할 수 없다.그리고 통신이 종료되면 독점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회선들의 연결이 해제된다.아래는 회선을 선택하는 순서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회선 교환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경로가 설정되면 노드에서 데이터 처리의 지연이 없다.-경로가 설정되면 사용자에게 일정한 전송률로 데이터를 전송한다.-회선을 독점하고 사용하므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보낼 때 효과적이다.-음성, 동영상처럼 실시간 전송이 필요한 ..

Study/Network 2014.07.26

교환 통신망

컴퓨터와 다른 컴퓨터가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통신 매체인 통신망이 필요하다.이 통신망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구조, 기술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그 중 교환 통신망은 노드의 전송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측까지 전달한다.아래는 교환 통신망의 구성이다. 여기서 데이터를 보내는 주된 장소는 station이고 그것을 전달해주는 길은 link이다.그리고 사이에서 제대로 된 길을 알려주는 것이 node라고 할 수 있다.다른 통신망 중 하나인 방송 통신망은 node가 없고 각 station이 직접 link에 연결되어있는 방식을 사용한다.그리고 위의 그림과 달리 단일 link인 경우보다 다중화되어 있는 경우가 더 많다. 이 교환 통신망은 데이터를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전송할 때 한 링크에서 다른 링크..

Study/Network 2014.07.26

IEEE 802 표준

IEEE 802표준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의 LAN/MAN 표준 위원회가 802의 숫자를 가지는데 이곳에서 정한 다양한 표준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 뒤에 802.x처럼 붙는 x들은 워킹 그룹을 말한다.-802.1 (Higher Layer Lan Protocols Working Group) 이 워킹 그룹은 LAN/MAN 아키텍처, LAN, MAN, WAN 사이의 네트워킹, 각 연결보안, 전체 네트워크 관리, MAC/LLC 계층 위의 프로토콜 계층 업무를 담당한다.-802.2 (Logical Link Control Working Group) 이 워킹 그룹은 LLC(Logical Link Control)를 정의한다. 다시 말해, 데..

Study/Network 2014.07.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