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Network

ad-hoc 네트워크

13.d_dk 2014. 7. 28. 15:10
728x90
반응형

ad-hoc 네트워크는 라우팅 알고리즘이 이동성을 직접 처리하는 네트워킹 방식이다.

만약 노드가 움직여 트래픽을 다른 쪽으로 강제로 옯기면, 라우팅 프로토콜은 노드의 라우팅 테이블에 일어난 변화를 관리한다.

간단히 말하자면, 기지국과 단말기가 통신하는 형태가 아니라, 각 단말끼리 연결되어 통신하는 형태를 말한다.

멀리 떨어져 있는 단말기끼리는 중간에 있는 단말들이 중계기 역할을 해주어 통신을 하게 된다.

이런 통신기기간의 무선 통신을 ad-hoc 네트워킹이라고 한다. 이전의 방식과 다르게 중앙 시스템의 도움없이 어디서나 기기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네트워크이다 보니 여러가지 특징들이 존재한다. 아래는 특징들을 보여준다.

-보안
기본적으로 ad-hoc 네트워크의 보안 요구조건은 다른 통신 네트워크에서 요구되는 것과 동일하다. 다만, 서로 매체를 신뢰할 수 없는 상황에서 암호를 사용해야하므로 암호 키에 크게 의존한다. 따라서 키 사이에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만들고, 이 키를 ad-hoc 네트워크 전반에 분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로 사용되는 키 방식은 공개 키(public key : 지정된 인증기관에 의해 제공되는 키 값)접근 방식에 기반하고 있다.

-라우팅
무선 ad-hoc 네트워크의 경우, 노드가 네트워크 내에서 제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노드 간 패킷을 라우팅하는 문제가 중요하다. 이는 반응루트(reactive route)를 사용하여 해결한다. 패킷 라우팅이 분명히 필요한 경우에만 노드 간 루트가 성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ad-hoc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라우팅을 위한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트리 기반(Tree-based) 방식 : 각 목적지에 대해 유일한 최단 경로가 결정되어 이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으로써 AMRoute(Adhoc Multicast Routing), AMRIS(Adhoc Multicast Routing protocol utilizing Increasing id-numberS) 등등의 프로토콜이 있다.

메쉬 기반(Mesh-based) 방식 : 하나 이상의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으로써 ODMRP(On-Demand Multicast Routing Protocol), CAMP(Core-Asisted Mesh Protocol) 등등의 프로토콜이 있다.


+a infrastructure과의 차이점

두 무선 방식을 간략하게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nfrastructure : 무선 공유기나 공공 AP처럼 전송할 때 중계기가 있는 무선랜 연결

ad-hoc : 중계기 없이 각각의 무선 어댑터를 설치한 기기가 서로 무선랜 연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