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315

BGP(Border Gateway Protocol)

BGP는 AS 사이에서 통신을 하는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 중 하나이다.BGP는 다른 BGP 시스템과 신뢰성 있는 정보를 교환하고, 이 정보에는 전송되어 서로 통신하게 될 AS내의 모든 경로가 포함되어 있다.AS사이에서 통신을 하는 EBGP(External BGP)와 AS내에서 통신을 하는 IBGP(Internal BGP)가 있다.BGP는 RIP와 같게 Distance Vector 알고리즘으로 동작하지만 RIP와 달리 주기적으로 정보를 교환하지 않고 변화가 있을 때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Study/Network 2014.07.24

OSPF(Open Shortest Path Fast)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 중 하나이다.RIP는 네트워크의 구성상 계층이 없지만 OSPF의 라우팅 환경은 Area와 AS라는 두 가지 요소를 가지고 계층적으로 구성된다.Area는 인접한 OSPF 네트워크와 호스트들의 집합이고, 각 Area들은 OSPF AS(Autonomous System)에 의해 논리적으로 나누어 진다.AS는 OSPF 인터네트워크에서 가장 큰 개체이고, 같은 라우팅 방법을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들의 집합이다.즉, 하나의 네트워크를 Area라고 부르고, 그 네트워크들 중 같은 라우팅 방법을 사용하는 집합을 AS(Autonomous System)라고 부른다.이러한 계층적인 구성은 라우팅 테이블을 감소시켜 트래픽을 줄일 수 있고, 라우팅 경로 선택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가장 짧은 경로를 선택할..

Study/Network 2014.07.24

IGRP(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EIGRP(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먼저 IGRP는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 중 하나이다.시스코 시스템즈에서 만든 IGP(Interior Gateway Protocol) 프로토콜로서, 다른 게이트웨이들과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게이트웨이들이 자신들의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 수 있게 해준다.게이트웨이는 인접 게이트웨이들과 수정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여 다른 네트워크들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기본적으로 RIP을 극복할 목적으로 만들어 졌다.IGRP의 최대 홉 수는 255이며 라우팅 업데이트는 90초마다 브로드캐스트 된다. 위의 프로토롴과 이름이 비슷한 EIGRP 역시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 중 하나이다.강화 내부 경로 제어 통신 규약이라고도 불리는 EIGRP은 IGRP를 기반으로 만든 개방형 라우팅 프로토콜이다.라우터 내 대역폭 및 처리능력..

Study/Network 2014.07.24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RIP는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 중 하나이다.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 중 하나이며 네트워크의 구성상 계층이 없다.즉, 각각의 라우터를 동등하게 생각하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RIP에서는 도달할 목적지의 거리(길이 개념이 아니라 몇 개의 게이트웨이를 거치는가를 말함)를 측정하기 위해서 홉수(Hop Count)를 사용한다.어떤 인터페이스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면 홉수는 0이며, RIP로 통신할 수 있는 최대의 홉수는 15이다.예를들어 통신하고자 하는 네트워크까지의 홉수가 16이면 통신할 수 없다.이런 방법을 사용하는 알고리즘을 Distance Vector 알고리즘이라고 한다.아래의 그림은 Distance Vector 알고리즘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또한 각각의 라우터가 ..

Study/Network 2014.07.24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팅은 통신에서 패킷을 보낼 경로를 정하는 것을 말한다.라우팅 프로토콜을 이런 경로를 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프로토콜들을 말한다.라우팅의 종류에 따라 프로토콜의 종류도 다르다.-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네트워크 관리자가 패킷을 보낼 경로, 네트워크 정보를 직접 설정하는 수동방식을 말한다. 정해진 경로만으로 다니기 때문에 처리속도가 빠르다. 또한 CPU, 메모리에 부하가 적게 걸린다. 경로를 직접 일일이 설정하는 만큼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적합하다. 대규모 네트워크의 경우에는 설정하는데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될 경우 관리자가 직접 다시 수정해야 된다.-동적 라우팅(Dynamic Routing)서로 다른 라우터들이 변동된 네트워크 정보를 라우터끼리 스스로 교환..

Study/Network 2014.07.24

동기화(Synchronization)

컴퓨터가 정보를 전송할 때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한 비트씩 나누어 보내게 된다.수신측은 비트의 시작과 끝을 판별해 비트의 값을 읽어낸다.이때 송신측에서 보내는 비트의 시간 간격을 송신 비트 시간 간격(TS)라고 하며 수신측에서 비트를 받아드리는 시간 간격을 수신 비트 시간 간격(TR)이라고 한다.이 시간 간격이 일치한다면 비트를 정확하게 읽어드릴 수 있지만 송신, 수신을 하는 두 컴퓨터의 속도 차이(clock 오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일치하지 않아 비트를 정확하게 받아드릴 수 없다.따라서 어느 방법을 사용하여 TS와 TR을 맞추어 비트를 정확하게 받아드리는 방법이 필요한데 이것을 동기화라고 한다.아래는 동기화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동기화 방법도 2가지로 나뉘어진다.한 방법은 송수신기가 하나의 기..

Study/Network 2014.07.23

Multiplexing(멀티플렉싱)

멀티플렉싱이란 통신로 하나에 여러 개의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또한 하나의 전송로에 여러 개의 데이터 신호를 보내 하나의 고속 신호로 만드는 전송 방식을 말하기도 한다. 여기서 데이터 신호를 여러 개로 만드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데이터 신호를 여러 개로 만드는 방법에는 주파수 분할, 파장 분할, 시분할, 코드 분할 등이 있다.

Study/Network 2014.07.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