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Network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포트

13.d_dk 2014. 7. 17. 10:29
728x90
반응형

포트란 TCP가 상위 계층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길, 통로 같은 것이다.

만약 상위 계층은 TCP포트 3번을 사용하고, 하위 계층은 33번을 사용한다면 두 길이 다른 것이므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없다.

,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은 하위 계층의 프로토콜과 같은 TCP포트를 사용해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여러 개의 웹사이트에서 동시에 파일을 받을 수 있는 이유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포트가 여러 개 존재하기 때문이다.

물론, A데이터를 전송하는 포트와 A데이터를 받는 포트의 번호는 같고, B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포트와 B데이터를 받는 포트의 번호는 같다.

아래의 그림을 보면 더욱 이해가 잘될 것이다.

위의 그림에서 TCP/IP 계층 구분을 해보자면 브라우저와 FTP 파일 다운로드는 TCP 응용 프로그램(응용 계층)이고 포트부터 TCP까지는 전송계층 IP는 네트워크 계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잘 알려진 포트 번호는 아래와 같다.

 포트번호

서비스 내용 

 TCP 20

FTP 데이터 

 TCP 21

FTP 

 TCP 23

Telnet 

 TCP 25

SMTP 

 TCP 80

HTTP 



반응형